블루노트 레이블
재즈 레이블 중 도통 눈에 띠지 않아 애호가들을 가장 속태우는 것이 "블루노트"다. 가장 중요한 재즈뮤지션들의 전성기 녹음을 거의 대부분 보유하고 있어 연주의 질이 당연히 뛰어난데다 따스한 음색이 백미로 꼽힌다. 미국의 레코드는 유럽의 것들과 달리 대부분 재생 비닐을 사용해 제작한 데다 음질마저 떨여져 그다지 선호하지 않는 내게 있어서도 클래식의 웨스트민스터 레이블과 재즈의 블루노트 레이블은 열광하는 편이다. 국내에 풀린 블루노트 레이블의 음반이 많지 않아 접할 기회가 흔치 않다 보니 레이블의 시기를 파악하는 것도 쉽지는 않았다. 아래의 사진은 블루노트의 시기별 레이블 사진으로 인터넷상에서 퍼왔음.
1. 미국본토반
블루노트는 레이블을 시기별로 구분해 초반인지 재반인지를 구분하자면 그리 간단치 않다. 위 사진에 의거 정리해 봤다.
1951 ~ 73년에는 블루노트 레코드의 중앙 원형 레이블을 "ㄴ"자로 나눠 청색과 흰색으로 디자인했다. 이 레이블은 20년 넘게 사용했기 때문에 출반 시기를 알려면 시대별로 구분해야 한다. 이 레이블에서의 구분 방법은 중앙 레이블의 그루브(Groove) 안쪽에 둥글게 기록된 회사명과 주소지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우선 "ㄴ"형태의 디자인 부터 보자면 하단 청색바탕 "NOTE"표기 부분에 "Ⓡ" 마크가 없는 경우(1951~59년)와 있는 경우(1959~73년)로 나눌 수 있다.
"Ⓡ"마크가 없는 경우 그루브 안쪽의 주소를 먼저 확인하면 출반시기를 알 수 있다.
1951 ~ 57년(M): 주소지가 "LEXINGTON"으로 되어 있음
1957 ~ 59년(M): 주소지가 "West 63rd"으로 되어 있으며 주소 끝부분에 "23"이 표기되어 있는 것은 그 중에서도 앞서는 시기에 출반됨
"Ⓡ"마크가 있는 경우 그루브 안쪽의 회사명을 먼저 확인한다.
1959 ~ 62년(M): 회사명이 "BLUE NOTE RECORD INC"로 표기되어 있음 / 주소 있음(West 63rd)
1962 ~ 66년(M/ST): 회사명이 "BLUE NOTE RECORD INC"로 표기되어 있음 / 주소 없이 "New York USA" 만 표기
1966 ~ 70년(ST): 회사명이 "LIBERTY RECORD INC"로 표기
1970 ~ 73년(ST): 회사명이 "UNITED ARTIST RECORD INC"로 표기
그 후에는 레이블 디자인이 완전히 변경되어 구분이 한 눈에도 확연하다.
1970 ~ 73년(ST): 군청색 바탕 왼쪽에 믈루노트 사각 로고가 그려져 있음. "UNITED ARTIST RECORD INC"레이블과 동시기에 발매됨.
1973 ~ 78년(ST): 블루노트를 상징하는 굵은 "b"자 안에 음표를 그려 넣었는데 "b"자 모양의 로고가 검정색이면 73~76년에 흰색이면 77~78년에 출반
1986년 이후에는 그루브가 사라지고 "THE FINEST IN JAZZ SINCE 1939"로 표기됨
일련번호는 다음과 같다.
BLP 5000 시리즈(1951 ~ 195?년): 10인치 모노반으로 12인치를 출반하기 전에 출시된 것으로 보임(일본에서는 이 시리즈를 12인치로 출반하였음)
BLP 1500 시리즈(1953 ~ 1958년): 12인치 모노반으로 100장의 음반을 출반함
BLP 4000 시리즈(1958년 ~ ): 12인치 모노반으로 BLP 1600까지 출반된 후 4000으로 바뀜. 같은 녹음의 스테레오반은 앞에 "8"자를 더 붙이고 일련번호 코드를 BST를 써 구분(BST 84000 시리즈: 1962년경 4100으로 단위가 넘어간 것으로 보임)
61000 시리즈(61001~61021): 일본 음반산업의 저력을 확인할 수 있는 시리즈로 미국 본토에서도 찍지 않은 음반을 일본에서 최초로 출반한 경우임. 도시바EMI에서 찍은 이 61000 시리즈를 이 코너에 소개하는 이유는 미국에는 없는 초반이기 때문임. 기존 음반의 재킷을 사진 색만 바꿔 이 시리즈를 낸 경우가 많음. 총 21장 출반
욕심 같아선 미국 초반으로 죄 다 모으고 싶지만 그렇게 나와주지도 않을 뿐더러 금전적으로도 엄청난 출혈을 감수해야 한다. 대안으로 70년대 미국 프레스를 구입하거나 6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일본에서 찍은 라이센스반을 구입하는 것이 대안이지만 이마저도 귀하다. 우선 국내 또는 가까운 일본에서 구할 수 있는 도시바EMI와 킹레코드의 음반들에 관한 정보를 정리해 보았다.
2. 도시바 EMI반
도시바EMI에서 1500 시리즈를 단기간에 전반 출반한 적도 있지만 그 때 그 때 선호도에 따라 랜덤하게 출반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대부분 1500시리즈와 4000시리즈, 그리고 5000 시리즈를 구분해 가며 일련번호를 부여한 것으로 보임.
1968년 NP 2001 ~ 2020(1500 및 4000 시리즈로 일본 프레스는 아니고 미국으로부터 수입해 OBI를 부착해 판매했던 음반)
1969년 NR 8101 ~ 8104(최초의 일본 블루노트 프레싱. 컴필레이션?)
1970년 NR 8830 ~ 8839(1500 시리즈) *****
1971년 NR 8840 ~ 8845(1500 단, 8844만 4000 시리즈) *****
1976년~77년 LNJ 70067 ~70130 / LNJ 80064 ~ 80150(1500 및 4000 시리즈) *****
1983년 BLP 1501 ~ 1540(1500 시리즈 전반 출시) / BNJ 71001 ~71004(5000 시리즈) / BNJ 71005 ~ 71010(4000 시리즈)
1984년 BLP 1541 ~ 1600(1500 시리즈 전반 출시) / BNJ 71011 ~ 71050(4000 시리즈) / BNJ 61001 ~ 61020(일본에서만 출시, No본토반) *****
1985년 BNJ 71051 ~ 71095(4000 시리즈)
1986년 BNJ 71099 ~ 71105(4000 시리즈)
1989년 BN 4181 ~4114(4000 시리즈) / TRLP 4,17,19,20(옴니?) / ILP 606
1990년 BN 1524 ~ 1576(1500 시리즈) / BN 4006 ~ 4197(4000 시리즈)
1991년 BN 1578 ~ 1598, 1521 ~ 1522(1500 시리즈) / BN 4004 ~ 4274(4000 시리즈) / BN 0001 ~20(5000 시리즈)
1992년 BN 4001 ~ 4103(4000 시리즈) / BN 4173 ~4230(4000 시리즈) / BN 4248 ~4416(4000 시리즈)
1993년 BN 1535 ~ 1561(1500 시리즈)
1994년 BN 1501 ~1515(1500 시리즈) / BN 1516 ~ 1600(1500 시리즈) / BN 5023 ~5064(5000 시리즈)
1999년 TOJJ 5000
2004년 TOJJ 6000(1500 및 4000 시리즈)
3. 일본 킹레코드반
일본의 킹레코드반은 우선 크게 GXF시리즈(1977 ~ 1980년)와 GXK시리즈(1977 ~ 1981년), 그리고 소위 K시리즈(1982 ~ 1983년)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을 것 같다. 선호도에 따라 그때그때 랜덤하게 출반함.
1977년 GXF 3001 ~ 3020
1977~78년 GXK 8001 ~ 8150
1978년 GXF 3021 ~ 3027(japanese compilation only)
1979년 GXF 3151 ~3158 / GXF 3171 ~3180
1979~80년 GXF3051 ~ 3073(Japanese Press only)
1980년 GXF 3503 ~3508
1980~81년 GXK 8151 ~ 8170(the Second Press of GXF3051 ~ 3073) / GXK 8171 ~ 8190(Japanse Press only)
1981년 GXK 8201 ~8230
1982년 K18P 9124 ~ 9128(japanese compilation only)
1983년 K18P 9201 ~ 9215 / K18P 9226 ~ 9250 / K18P 9271 ~ 9280 / K23P 9281 ~ 9292 / DY 5801 ~5802
그 외 내가 잘 못 알고 있거나 정보를 더가진 분 계시면 갤차주삼.